2주 표준요금 390만 원… 산모 250만 원, 시 140만 원 부담
서울 시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이용 평균 비용이 491만 원, 최고 4,020만 원(2025.6.기준)에 달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이용 부담을 낮추고 서비스를 높인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시범 운영한다.
시는 2026년 민간산후조리원 5개소를 공모해 상반기 중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시범 가동한다. 이후 운영 결과 분석·보완을 거쳐 2027년부터 서울 전역에 확대할 계획이다.

참여 시설은 서류심사, 현장실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선정되고 공공 운영 기준을 준수토록 협약을 체결한다.
지자체가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주체가 되어 시와 협약을 맺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는 현재 서울 시내 산후조리원 산모실(총 1,964실)이 출생아 수 대비 과잉인 현실을 고려해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협력형 대안으로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모델을 설계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취약계층, 다자녀 산모에게는 우선 입소권이 제공된다. 시는 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의 입소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모든 산모가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운영 방침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2주 이용 기준 390만 원 표준요금을 적용하며 산모는 250만 원, 시는 140만 원을 부담한다. 다자녀 가구·한부모 가정 등의 경우 50%, 저소득층은 100% 비용을 감면받을 수 있다.
서울시 조사(2025년 6월 기준)에 따르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평균 이용 요금 491만 원, 중위 요금은 390만 원(최저 280만 원~최고 4,020만 원)으로 평균 비용의 절반(491만 원 중 250만 원)만 부담하면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통해 산모 회복뿐 아니라 가정으로 이어질 신생아 돌봄 역량을 높여주는 표준화된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산후조리원 입소 전 출산준비 교육(2회 이상)부터 입소 후 모자동실 운영, 모유 수유 지원을 기본으로 유방·전신 관리, 산후운동 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신생아 목욕·수유·수면·안전교육 등 교육과 보건소 모자보건사업과 연계한 건강관리 서비스도 지원한다.

시가 제시하는 감염 및 안전관리 기준에 맞춰 기존 시설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곳 당 최대 5,000만 원의 시설개선비도 지원한다.
시설개선비는 ▴신생아실 환기시설 강화·집중관리실 운영 ▴대소변 처리 격리시설 설치 ▴장애인 산모실 1실 설치 등에 사용하게 되며 이와 별개로 감염관리 세부 프로토콜을 마련해 감염병 등으로부터 산모와 신생아가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한다.
단풍명소 테마별로 보는 서울 단풍길 110선 데이트 코스 총정리
올해 서울의 단풍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는 외곽의 북한산 일대가 10월25일경, 도심지역은 이보다 조금 늦은 10월 말에서 11월 초중순경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
tipstory1.com
서울 가을 명소 BEST 10 SNS에서 반응 뜨거운곳 총정리
지난해 10월 ‘서울관광데이터’ 기반, SNS 언급량 등 분석해 도출 만추의 문턱인 10월, 서울시민과 관광객이 선호하는 장소는 한국의 고유미와 매력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궁’이 단연 1위인
tipstory1.com